내용 삭제
네비게이션 열기

CPR 점수 설명

QCPR 점수 알고리즘 이해

우수한 CPR은 생존율을 향상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채점은 환자에게 실제로 얼마나 좋은 성과를 제공하는지를 반영하는 개념에 근거합니다

Laerdal의 CPR 채점 알고리즘은 학습자에게 CPR 수행 결과를 정확한 점수로 표현하고 더 나은 CPR을 제공하는 방법을 안내합니다.하지만 점수 뒤에 숨은 숫자는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요?  

이러한 점수는 어떻게 얻어질까요?

학습자 1의 압축 깊이가 더 좋은데
어떻게 학습자 2가 더 좋은 점수를 받았을까요?

 

학습자 1

학습자 2

간단히 말해서 상위 숫자인 총점수 96%와 98%는 Laerdal의 QCPR 알고리즘에 의해 CPR의 모든 하위 술기에 대해 학습자가 성공에 얼마나 근접했는지를 측정하는 비이진수라는 것입니다. 위 화면의 다른 세 숫자는 이진수이며 완전한 성공과 실패만 기록합니다.

이진수 채점은 각 개별 학습자가 권장 지침 내에 있는 횟수만 계산하지만, Laerdal의 비이진 알고리즘은 학습자가 임계값에 얼마나 가까운지도 계산합니다.

위의 예에서:

  • 학습자 1의 OK 깊이는 94%였습니다.
  • 학습자 2는 학습자 1보다 낮은 92% OK 깊이를 가졌습니다. 
  • 하지만 학습자 2가 더 높은 점수를 받았습니다.
  • 그 이유는 학습자 2의 "잘못된" 압박이 가이드라인 임계값인 5~6cm에 훨씬 더 가깝기 때문입니다. 나중에 자세히 설명합니다.

CPR 총점은 CPR 수행 결과가 얼마나 좋았는지를 나타내는 간단한 표시이지만, 그 이면의 수학은 매우 복잡할 수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는 점수 계산 방법에 대한 원칙과 CPR 학습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몇 가지 통찰력을 공유합니다.

CPR 점수 설명